소통채널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의 최신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저희 사업단에 대해 궁금한 점은 문의게시판에 질문해주세요.

홍보/뉴스

홍보/뉴스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정] 바이오소재 트랙

  • 작성자 관리자
  • 조회 3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정] 바이오소재 트랙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는 서울대학교 표준 교과목과 혁신융합대학 공유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수학점은 9~15학점 사이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바이오소재 트랙은 총 9학점 이수 시 마이크로 디그리 취득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과목들 중에서 3가지를 선택해서 이수할 경우, 성적 증명서에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가 표기됩니다.

Biomaterials Science journal


1. 친환경 고분자개론 (Introduction to Eco-Friendly Polymers)

이 과목은 농업생물자원으로부터 유래된 천연고분자의 특성과 응용에 대해서 학습합니다. 또한 화학소재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유래 천연고분자 기반 소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 대표적 천연고분자(셀룰로오스, 전분, 펙틴, 단백질 등)의 생합성 과정 이해  

  • 화학적 개질을 통한 물성 변환
  •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


고분자(Polymer)란 무엇인가?

*셀룰로오스(Cellulose):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
*전분(Starch): 식물에 저장된 에너지 형태, 포도당 단위체로 구성.
*펙틴(Pectin): 과일 세포벽에 존재하는 다당류로, 젤 형성능력이 뛰어남.  

2. 친환경 고분자 공정 (Processing of Eco-Friendly Polymers)

이 과목은 농생물 유래 고분자 소재의 구조와 특성, 그리고 이를 가공하여 제품화하는 성형 공정(Processing and Shaping Processes) 에 대해 다룹니다.

  • 고분자의 분자 구조와 물리적 성질이 가공성에 미치는 영향

  • 산업별로 적합한 소재 선택 및 가공 최적화 전략  


Recent advances in biodegradable polymers for sustainable applications |  npj Materials Degradation

*가공성(Processability): 소재가 열, 압력 등의 가공 조건에 반응하는 능력.
*성형 공정(Forming Process): 압출, 사출성형 등 고분자를 특정 형태로 만드는 기술. 

3. 그린바이오 현미경 개론 (Introduction to Microscopy for Greenbio)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 주사탐침현미경 등 다양한 미세구조 관찰 장비의 원리와 활용법을 학습합니다.  

What is Microscopy?

  • 현미경의 분해능, 구성, 특성 설명

  • 주사탐침현미경(STM, SPM) 및 원자힘현미경(AFM) 을 이용하여 친환경재료의 표면 및 미세구조 분석

  • 이론수업과 장비 실습 병행  

*원자힘현미경(AFM): 탐침을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원자 수준에서 측정하는 장비.  

4. 목재물리역학개론 (Introduction to Wood Physics & Mechanics)

목재와 공학목재의 물리·역학적 특성을 다루는 과목입니다.  

  • 목재의 비중(Specific Gravity), 함수율(Moisture Content), 수분 이동(Water Transport), 수축/팽윤(Shrinkage/Swelling)

  • 목재의 강도(Strength), 강성(Stiffness) 이해

  • 공학목재 품질관리(Quality Control) 및 사용환경에 따른 성능 변화 소개  

*함수율: 목재 내 수분 함량을 나타내며, 목재의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5. 셀룰로오스 활용 소재 기술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s of Eco-friendly Cellulose and Paper)

목질계 친환경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제조 공정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한다.  

  • 셀룰로오스 기반 소재의 산업적 응용 사례 탐구

  • 친환경 소재 활용을 위한 기술 개발 필요성 인식  


Sustainable Cellulose: A Low-Cost, Eco-Friendly Approach for Regenerating  High-Performance Biodegradable Materials - Advances in

*목질계 친환경 소재: 목재, 펄프, 종이 등을 포함하여 재생 가능하고 분해 가능한 친환경 재료 


6. 목질계 바이오매스 전환 기술 (Biomass Conversion Technology)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고부가가치화하는 다양한 기술을 학습합니다. 

  • 리그노셀룰로오스(Lignocellulose) 기본 성분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특성 이해
  • 바이오매스 기반 정밀화학 플랫폼원료, 복합소재, 탄소소재, 바이오에너지 전환 기술 소개  

*리그노셀룰로오스: 식물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고분자 탄소 소재나 바이오연료의 원료로 사용

*바이오에너지: 생물유래 자원을 이용하여 생산된 에너지, 예를 들어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



Biomass | CPM


 

위의 과목들 중에서 선택해서 이수할 시, '바이오소재'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학년을 고려해서 작성되어 이수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과목 추천 이수 순서입니다.



추천 이수 학기 및 순서

추천 이수 학기

과목명


비고

1학년 1학기

친환경 고분자 개론


기초개념

1학년 1학기

목재물리역학개론


기초개념

1학년 2학기

그린바이오 현미경 개론


미세구조 분석

1학년 2학기

친환경 고분자 공정


가공기술 학습

2학년 2학기

셀룰로오스 활용 소재 기술


산업 응용

3학년 1학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전환 기술


고급 응용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미지출처

1. npj Material Degradation, Recent advances in biodegradable polymers for sustainable applications, 2022.
2. AZO Life Sciences, What is Microscopy?
3. Advances in Engineering, Sustainable Cellulose: A Low-Cost, Eco-Friendly Approach for Regenerating High-Performance Biodegradable Materials
4. CPM,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