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정] 스마트팜 트랙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는 서울대학교 표준 교과목과 혁신융합대학 공유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수학점은 9~15학점 사이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기후 변화, 인구 증가, 노동력 부족 등 농업 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작물 생육의 정량적 분석, 원격탐사 기반 농업 모니터링, 로봇과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등 스마트팜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프로그램의 ‘스마트팜’ 트랙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정밀농업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설되었습니다.
스마트팜 트랙은 총 9학점 이수 시 마이크로 디그리 취득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과목들 중에서 3가지를 선택해서 이수할 경우, 성적 증명서에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가 표기됩니다.
1. 작물정보계측 (Crop Information Monitoring)
이 과목에서는 생장 지표(생장 지수, 기체 교환, 엽록소 형광 등)를 계측하고, 환경 및 생육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작물 표현형 정보를 정량화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정밀농업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지를 다룹니다.
생장 지수(Growth Index), 기체 교환(Gas Exchange), 엽록소 형광(Chlorophyll Fluorescence) 등 식물 생장 지표의 원리와 측정 방법 이해
- 정밀농업에 적용된 사례 연구를 통해 실용적인 응용력 함양
이 과목에서는 드론, 위성, 센서 등을 활용한 고해상도 원격탐사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농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가시광선부터 극초단파 대역까지 다양한 센서 기술 학습
- 작물 생장 상태, 수분 스트레스, 질병 감지 등 표현형 분석 방법
- 디지털/스마트 농업과의 연결성 확보

이 과목에서는 수학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식물 생장 및 농업 시스템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 식물 생리현상과 생장 동역학의 수치적 표현
- 모델 기반 생산성 예측 및 환경 반응 분석
- 농업 시스템을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화
이 과목에서는 농업 자동화를 위한 로봇의 설계 및 제어 기술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익힙니다.
- 로봇 동역학과 위치/힘 제어 이론 학습
- MATLAB/SIMULINK 또는 다물체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어 실습
- 프로젝트 기반 로봇 제어 알고리즘 구현

위의 과목들 중에서 선택해서 이수할 시, '스마트팜'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학년을 고려해서 작성되어 이수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과목 추천 이수 순서입니다.
추천 이수 학기 및 순서
추천 이수 학기 | 과목명 | 비고 | |
2학년 2학기 | 작물정보계측 | 기초개념 | |
3학년 2학기 | 원격탐사와 생태계 관리 | 원격탐사 기술 학습 | |
4학년 2학기 | 식물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산업 응용 | |
4학년 2학기 | 농업로봇공학 | 로봇제어 실습 | |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미지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