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바이오 산업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린바이오 산업의 시장 현황을 살펴보며, 그린바이오의 6대 중점 분야 중 종자, 곤충, 미생물 분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린바이오 산업의 나머지 3대 중점 분야인 동물용 의약품, 천연물, 식품소재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동물용 의약품
동물용 의약품은 동물의 질병 예방, 진단,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품을 말합니다. 이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에도 필수적입니다.
2022년 기준,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1조 4,3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5.1% 성장했습니다. 이 중 국내 생산은 9,561억 원, 수입은 4,029억 원이며, 수출은 4,752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국내 동물용 의약품 내수시장에서 반려동물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16.7%로, 2013년 9.3%에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동물용 의약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물용 의약품 신제품 개발 및 연구 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술 토론회를 개최하고, 동물용 의약품 통합정보시스템 '아지(AZ)트'를 운영하여 임상시험부터 허가심사, 생산·판매, 시판 후 안전관리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2. 천연물 의약품
천연물 의약품은 식물, 동물, 미생물 등 자연에서 추출한 성분을 활용하여 개발된 의약품을 말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한약과는 구별되며, 현대 과학적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표준화하여 개발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천연물 의약품이 단순한 보조 치료제를 넘어 주요 치료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티렌정: 동아ST에서 개발한 위염 치료제로, 애엽(쑥) 추출물을 기반으로 합니다. 2002년 출시 이후 누적 매출 9,000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천연물 의약품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조인스정: 관절염 치료제로, 다양한 천연 성분을 조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시네츄라: 안국약품에서 개발한 천연물 기반의 호흡기 질환 치료제로,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입니다.
글로벌 천연물 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18.3%의 성장률로 2025년 약 2,7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아시아권이 최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천연물 의약품은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을 활용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질환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품질 관리와 임상 데이터 확보가 필요합니다.

정부는 식품 소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식품 R&D 동향보고서에서는 식품 소재 분야의 기술 개발과 시장 동향을 분석하여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식품 소재 산업은 건강과 웰빙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품질 관리,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그린바이오 산업의 6대 중점 분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종자에서부터 곤충, 미생물, 동물용 의약품, 천연물, 식품소재까지—
이 모든 분야는 지속 가능한 미래,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위한 기반이 됩니다.